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레드버블 (Redbubble) 가입 및 이용 가이드

기타/잡학사전

by 별빛나그네 예술록 2022. 9. 29. 23:21

본문

 

POD를 시작하기 위해 처음으로 눈여겨본 사이트, 레드버블.

스티커와 티셔츠가 주요 품목으로 판매되는 사이트이기에 해외 POD사이트로 눈여겨보았지만

유저 풀이 너무 많고 구입하는 소비자도 그리 많지 않아서, 신인작가가 성장하기 좋지는 않다.

그렇기에 고민을 하다 인스타그램 계정을 하나 키운 후 시작하려고 마음을 먹었으나,

우선은 아이디를 만들어서 같이 운영을 해보려고 한다.

 

 레드버블 회원가입 방법

 

레드버블 회원가입을 위해서는, 해외 수취가 가능한 페이팔/페이오니아 계좌가 필요하다.

송금/수취 수수료가 조금 더 저렴한 페이오니아 계좌를 등록하는 것이 이득이며,

페이오니아 계좌 개설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 설명해 두었다.

https://starlight-traveler.tistory.com/entry/%ED%8E%98%EC%9D%B4%EC%98%A4%EB%8B%88%EC%95%84Payoneer-%EA%B0%80%EC%9E%85-%EB%B0%8F-%EC%9D%B4%EC%9A%A9-%EA%B0%80%EC%9D%B4%EB%93%9C

 

페이오니아(Payoneer) 가입 및 이용 가이드

해외 POD를 시작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해외 계좌 연결. 저번 포스팅에서 페이팔과 페이오니아의 수수료를 비교해 보니 페이오니아가 압도적 이익이라, 이번에는 페이오니아 계정 개설 과

starlight-traveler.tistory.com

 

해외 송금 계좌가 준비되었다면, 아래 레드버블 홈페이지로 이동하여 회원가입을 시작한다.

https://www.redbubble.com/

접속하여 오른쪽 위 Signup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나타난다.

 

 

쇼핑몰을 운영하는 판매자로써 회원가입을 진행하는 것이므로, Artist Signup을 선택한다.

그 후에 메일을 받을 E-mail주소와, 운영할 쇼핑몰의 영어 이름, 그리고 사용할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여기에 적은 메일은 각종 알림 메일과 비밀번호 분실 시 확인용으로 사용되니, 사용 가능한 메일 주소를 적도록 한다.

 

 

간단하게 회원가입이 완료되면 다음과 같은 쇼핑몰 설정 창이 나타난다.

현재 등록할 디자인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Create Products" 페이지는 그대로 두고,

"Set up Shop"페이지부터 하나씩 채워가면 된다. 등록이 완료되면 체크표시가 나타난다.

 

'Avatar'는 인스타의 프로필 사진과 같은 개념으로, 원형으로 표시되며 파일 사이즈에 제한이 없다.

'Cover image'는 블로그의 배너와 같은 개념으로 개인 샵의 배경을 장식하며, 2400*600 px의 사이즈 제한이 있다.

그 후 개인 SNS 계정과 개인정보인 프로필을 업로드하면 된다.

 

 

다음은 가장 중요한 'Get Paid' 항목이다.

수익이 발생할 경우 입금받을 계좌를 입력하는 단계로,

계좌를 입력하기 이전에 가입 시 입력한 이메일이 본인의 이메일인지 확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

참고로 이메일란은 수정이 불가능하므로 꼭!!! 가입시 사용 가능한 이메일을 적도록 하자.

 

 

다음은 상품을 수취할 주소를 적는 항목이다.

페이오니아나 페이팔 계정을 등록했을 경우 적었던 그대로 적으면 되며,

네이버에 영문주소 찾기로 본인의 주소를 검색한 이후 그대로 옮겨 적으면 된다.

"ZIP or Post code" 는 우편번호를 말하며, Country에서 북한을 선택하지 않도록 조심하자.

 

 

마지막으로 대금을 수취할 계좌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페이팔 계정으로 수취할 경우 Option 1을 클릭하여 진행하며, 페이오니아 계정은 Option 2로 진행한다.

페이오니아 계정을 기준으로, 계좌번호 같은 사항들은 페이오니아의 계좌 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페이오니아의 계좌 정보를 보면 다음과 같이 표시되는데, 그대로 옮겨 적으면 된다.

왼쪽 상단에 옮겨 적어야 할 항목 번호를 적어놓았다.

1. Routing ABA를 Routing Number에 적은 후,

2. 계좌 번호를 Bank Account Number에 적고,

3. 수취인명을 Account Holder's Name에 적은 다음,

4. 계좌 유형을 CHECKING 계좌로 선택해주면 된다.

 

이렇게 계좌까지 등록하였으면 레드버블 가입이 완료된다.

 

레드버블, 수익성이 있을까?

 

레드버블을 시작하기에 앞서 수많은 후기들을 찾아보았지만, 의미 있는 수익을 내고 있는 사람은 정말 극소수였다.

레드버블에서 제공하는 POD 상품의 퀄리티는 전체적으로 무난한 수준이고,

국내 인구보다 많은 해외 인구의 수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수없이 많은 디자이너들과 별도의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기에 현재는 완전히 마케팅 싸움이 되어버렸다.

즉, 인지도 있는 디자이너가 개인 쇼핑몰을 운영하듯 디자인을 업로드한다면 의미 있는 수익을 얻을 수 있으나

일반 디자이너들이 딛고 올라오기엔 꽤나 힘든 부분이 많아 보인다는 점이 보였다.

 

 

 

아래는 현재 호주에 상장중인 Redbubble의 손익계산서.

연단위로 보았을 때, 총매출 2021년 한화 기준 6억 정도, 2022년 예상치는 5억 원 남짓이다.

현재 레드버블에서 가장 잘 팔리는 티셔츠 한 장이 3만 원 남짓이니,

대략 1년에 2만개 정도의 티셔츠를 판매한다고 볼 수 있다.

이걸 보면 알겠지만, 시장이 생각보다 크지는 않다.

총매출 5억원대, 순이익은 마이너스대인 것을 감안하면 국내 코스닥 기업에 비비기도 힘들 정도의 규모다.

결국 아마존에 입점하는 것이 아닌 이상 그렇게 큰 마진을 기대할 수는 없는 구조인 것이다.

그렇기에, 우선은 SNS 디자인 계정을 개설 후 키우는 것을 먼저 목표로 한 이후

아직은 정착되지 않은 국내 POD 사이트에 입점하는 방식으로 계획을 변경하였다.

 


사실, 무엇이든지 될 사람은 되고 안될 사람은 안된다.

이것저것 따지는 것 보다 디자인 하나라도 어서 올리는 편이 더 나을지도 모른다.

할 일이 태산이지만 짬짬이 시간을 내서 노력하는 것이 옳은 길일 것이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